본문 바로가기

My Major_전공 관련 정리27

[Theology] 신약성서 신학(New Testament Theology) 3 우연성, 다양성, 발전의 문제 이제 레이제넨의 네 번째 논거를 살펴보면, 우리는 우리의 연구에 있어서 연구 대상인 문서들의 성격과 역사로부터 생겨나는 몇 가지 난점들에 직면하게 된다. 첫째, 신약성서의 책들 속에는 이미 만들어진 신학 교과서가 하나도 포함되어 있지 않다. 신약성서를 구성하는 책 중에서 그 저자가 하나님과 세계, 그리고 그 상호 간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조직적으로 어느 정도 자세하게 설명한다는 의미에서 신학서로 쓰인 것이 한 권도 없다는 말이다. 신약성서의 문서 중 적어도 일부는 특정한 집단들을 대상으로 특정한 문제들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쓰였다는 점에서 상황 대응적인 것으로서 우리에게 그 기자들이 자기 청중들에게 적합하다고 생각한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이것은 적어도 바울 서신들에 그대로 .. 2022. 11. 26.
[Theology] 신약성서 신학(New Testament Theology) 2 둘째, 이 문서들은 가장 초기에 예수를 따랐던 자들의 저작으로서, 그들은 교회의 탄생과 성장에 있어서 처음부터 주역들이었던 자들이었거나 그러한 자들과 밀접한 관계에 있던 사람들로서, 그들은 모두 기독교의 첫 세기에 속해있었다. 이렇게 그 문서들이 비교적 제한된 지역과 시간 안에서 쓰였다는 사실 속에서 하나의 통일성의 가능성을 찾아볼 수 있는 토대가 존재한다. 셋째, 신약성서의 문서들을 현존하는 주 후 1세기 기독교 문헌의 거의 전체를 구성하고 있다 - 물론, 몇몇 사도 교부의 저작들(클레멘스 1서, 디다케)도 아마도 이 기간의 문헌에 속하기는 하겠지만, 신약성서에서 가장 늦게 쓰인 책들의 연대와 사도 교부들이 쓴 가장 초기의 책들(그리고 동일한 시기에 나온 그 밖의 다른 기독교 문헌들) 연대가 부분적으로.. 2022. 11. 25.
[Theology] 신약성서 신학(New Testament Theology) 1 우리는 신약 신학을 어떻게 하는가? 연구 대상으로서의 신약성서 신약 신학이라는 학문 분과에 대하여 가장 목소리를 높여서 비판하는 오늘날의 학자는 하이키 레이제넨인데, 그는 왜 신약 신학을 하지 말아야 하고 또한 할 수 없는지를 보여주기 위해서 네 가지의 근거를 제시한다. 첫째, 레이제넨은 역사적인 것과 신학적인 것은 분리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신학을 다루는 것은 신약학자의 임무가 아니고, 그들이 연구해야 할 영역은 역사라고 주장한다. 신약학자는 초대 교회에 관하여 순전히 서술적인 설명을 할 수 있지만 그 이상의 것을 해서는 안 된다. 신학을 쓰는 것은 처방하는 것인데, 신약학자에게는 어떤 것을 누구에게 처방할 권한이 없다. 둘째, 레이제넨은 자료의 성격상 우리는 초기 그리스도인들의 종교에 관한 역.. 2022. 11.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