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y Major_전공 관련 정리/New Testament_신약 관련20

[Theology] 신약성서 신학(New Testament Theology) 20 신약성서는 주 후 1세기에 가능하였던 방식들 내에서 사상을 표현한 것으로서 무엇보다도 먼저 가능한 한 최대로 독자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방식들은 그 이후의 여러 세대에 걸친 지적 발전에 의해서 형성된 우리 자신의 방식들과 다를 수 있다. 어쩔 수 없이 우리는 우리 자신의 사고와 부합하는 사고방식들을 받아들이고 그렇지 않은 것들을 거부하는 경향을 지니고 있다. 신약성서의 기자들은 지구가 태양을 중심으로 도는 태양 중심적인 우주관의 틀을 아직 생각하지 못하였고, 지구는 평평하며 지구가 우주의 중심에 있다고 믿었기 때문에, 오늘날의 사람들이 그들의 물리적인 사고의 틀을 공유할 방도는 없다. 그러나 우리는 오늘날의 전위 사상가들에 의해서 자신 있게 부인되는 하나님의 존재 또는 평범한 사람들에 의해서조차.. 2022. 12. 29.
[Theology] 신약성서 신학 (New Testament Theology) 19 신약성서 신학과 조직신학 우리가 이러한 연구와 오늘날의 세계 관계를 고찰하게 되면, 앞에서 말한 것과는 다른 문제점들이 생겨난다. 기독교의 신념들에 대한 조직적인 분석은 종종 교의 신학으로 불린다. 이 용어는 그리스도인들이 무엇을 믿는지에 관한 서술이 아니라 그리스도인들이 무엇을 믿어야 하는가에 관한 서술로서, 거기에는 신학을 쓰고자 하는 의도가 들어 있다. 기독교 공동체들 내에는 규범적 성격을 지닌 신조들과 신앙고백들 같은 것들이 존재한다. 신약 신학에 관한 저작은 서술적인가 규범적인가? 우리는 여기서 그 자체로는 규범적일 수 없는 신약성서 신학에 관한 책과 기독교 신들의 신학과 어느 정도 관련을 가질 수밖에 없는 신약성서의 신학 자체를 구별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가능한 것은 신약성서의 가르침을 제.. 2022. 12. 29.
[Theology] 신약성서 신학 (New Testament Theology) 18 둘째, 예수의 역사적 활동은 기독교 운동 전체와 그 사상과 실천을 발전시킨 출발점이기 때문에, 그의 영향력에 대한 연구는 적절한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예수는 그의 제자들의 신학 전제이다. 셋째, 예수는 복음서들에서 고찰의 대상이 되고 있기 때문에, 복음서 기자들의 저작은 신약성서 신학을 탐구하는 데에 중요한 일부로 여겨져야 한다. 이러한 세 가지 수준의 접근방식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불트만은 오직 두 번째 수준에서만 예수의 메시지를 다룬 것이 된다. 불트만은 어쨌든 세 번째 수준을 간과함으로써, 신약성서 신학에 대한 발전론적 접근방식이 어떻게 한 학자가 최종 결과물들을 살펴볼 필요성에 대하여 눈감게 만들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고전적인 예를 제공해 주었다. 물론, 불트만도 두 번째 수준을 다루면서 첫 .. 2022. 12. 29.
[Theology] 신약성서 신학 (New Testament Theology) 17 하지만 예수가 기독교 신학자가 아니었다는 좀 더 강력한 논거가 있다. 기독교 신학이 있다면, 그것은 예수에 관한 그리스도인들의 사상으로서 예수의 죽음과 부활, 그리고 그것들이 지닌 함의들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견해를 옹호하는 일은 그리 어렵지 않다. 예수는 하나님의 나라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오직 간접적으로만 자기 자신에 관하여 관심을 갖고 있었으며, 아주 드물게만 자신의 미래에 관하여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므로 예수는 그의 제자들과는 다른 그 무엇을 행하고 있었던 것인데, 이것은 예수를 기독교 신학자로 보지 않는 추가적인 이유다. 그런데도, 이러한 주장은 예수의 가르침이 복음서 기자들에 의해서 그들의 복음서에 들어와서 신약성서의 일부가 되었다는 고찰에 의해서 반박될 수 있다. 복음서 기자들은.. 2022. 12. 29.
[Theology] 신약성서 신학 (New Testament Theology) 16 여기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아마도 초점의 문제일 것이다. 본서가 성경 전체에 대한 성경 신학을 시도하고자 한다면, 그것은 도저히 감당할 수 없는 방대한 것이 될 것이고, 저자의 능력을 훨씬 벗어나는 일이 될 것이다. 하지만 신약성서 기자들의 사상이 구약성서에 의해서 두 가지 방식으로 형성되었다는 사실을 우리가 회피할 수 있는 길이 없기 때문에 신약성서 신학은 분명히 신약성서에 대한 성경적 신학이 되어야 한다. 그 중 한 가지는 그들이 모두 출생에 의해서나 사고방식에 있어서 모두 유대인들이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들은 구약성서에 의해서 형성된 유대교의 틀 내에서 사고하고 있다. 또 다른 하나는 그들이 자신의 신학을 발전시키기 위해서 구약성서를 나름대로 독특하고 의도적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구약성서는.. 2022. 12. 28.
[Theology] 신약성서 신학 (New Testament Theology) 15 신약성서의 근저에 있는 그 존재 이유를 이런 식으로 규정하는 것은 그러한 연구를 위한 자의적인 전제라고 할 수 있는 것을 진술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그것은 탐구에 의해서 검증되어야 할 주장이고, 맞든지 안 맞든지 모든 것을 거기에 짜 맞추려고 해야 하는 프로크루스테스의 침대가 아니라 과연 그것이 연구의 결과들에 의해서 타당한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검증되어야 할 주장이다. 그러므로 독자들은 이 책의 실질적인 내용들이 다 완성되고 이 연구의 결과들이 무엇인지가 좀 더 분명해진 이후에 서론의 이 부분이 쓰였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신약성서는 홀로 서 있는 것이 아니라 구약성서와 더불어서 기독교 성경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신약성서는 예수의 사역과 가르침 및 초기 기독교회의 발전이라는 역사적 맥락 속에서 .. 2022. 12. 24.